제주RIS

프로그램
mobile background
mobile background

리빙랩2024 스마트관광 지역문제해결 리빙랩

관리자


2024 스마트관광 지역문제해결 리빙랩



스마트관광 리빙랩은 제주도의 다양한 문제를 지자체, 대학, 기업, 지역민이 협력하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해결하고

제주도의 관광산업을 스마트 관광으로 전호나하여 관광객에게 향상된 정보 접근성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2024년 7월 ~ 9월 3개월간 스마트관광 리빙랩을 진행하였습니다.

지능형서비스사업단의 참여 대학이나 제주 소재의 법인을 대상으로 하여 총 7개 팀이 선정되었으며,

지자체, 대학, 기업, 지역민이 협력하여 제주도의 관광 현안과 지역 문제 해결 해결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운영되었습니다.




[목적 및 필요] 


·  지역 협업 네트워크 구축: 제주도의 다양한 문제를 지자체, 대학, 기업, 지역민이 협력하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해결

·  제주 관광산업의 스마트 전환 촉진: 제주도의 관광산업을 스마트 관광으로 전환하여 관광객에게 향상된 정보 접근성과 서비스 제공

·  실제 문제 중심의 학습 적용: 학생들이 PBL 방식을 통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실제 문제를 해결하며 학습 효과 극대화


 


[활동 내용] 

 

1. 제주남방큰돌고래  출몰예측 및 VR체험 프로젝트   

돌고래 생태계의 위협과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한 거리에서 돌고래를 관측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을 위한 프로젝트


① 추진배경

·  제주 남방큰돌고래의 중요성 인지

·  제주 남방큰돌고래의 출몰 시간을 정확히 맞추기 어려워 관광관측 실패

·  관광 선박의 무분별한 접근으로 인한 돌고래 생태계 위협

 


② 활동 내용

·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주요 관측 지역, 돌고래 습성, 현장 촬영 노하우 등 내용 파악

·  제주남방큰돌고래 출몰 데이터 자료 분석

·  남방큰돌고래 출몰 현장 답사

·  남방큰돌고래 출몰 데이터 앱 구축 회의 진행

·  VR 돌고래 체험 진행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남방큰돌고래 지도 어플을 만들어 원하는 위치에 남방큰돌고래 출몰 가능성을 표시하였고, 

다른 이용자들이 업로드한 남방큰돌고래 사진들과 풍속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어플 테스트 시 현장 방문 3회 중 2회 관측!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한 Dolphin Map 어플을 통해 돌고래 관찰 가능성이 증가하였고,

 VR 체험을 통해 제주 남방큰돌고래에 대한 지식을 확대할 수 있었습니다.



2. 관광 성수기 OTA 가격  동향 및 온라인 관광 물가 모니터링 

제주도 관광 물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어 관광 물가에 대한 오해를 풀기 위해 제주도 관광 물가에 대한 진실을 파헤치기 위한 프로젝트


① 추진배경

·  다양한 논란으로 인한 제주도 관광 이미지 실추

 


② 활동 내용

·  제주도 OTA 관광 물가 모니터링 조사를 위한 핵심 키워드를 바탕으로 심층 물가 조사 진행

·  지역별, 플랫폼별, 카테고리별 가격을 비교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사점 제공




3.  생성형 AI 기반의  다국어 스마트관광 서비스 

외국인 관광객의 언어 장벽 해소와 관광 정보 소통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


① 추진배경

·  제주, 외국인 관광객 증가

 ·  60대 이상의 시니어들의 증가로 인한 시니어 관광 트렌드

 



② 활동 내용

 ·  제주관광공사등 공공데이터 활용 데이터셋 구축

 ·  실시간 정보와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결합하여 다국어 지원 스마트 챗봇 설계

·  다국어(한국어, 영어, 중국어) 지원 챗봇 설계


관광지 데이터셋 구축
관광 타입타입 지율지역지역 비율POI (건)트리플 (건)이미지 (장)KVQA (건)
관광지13%제주5%1,2031,3796,01524,060
문화시설1%

921494601,840
음식점40%

4,9085,65224,54098,160
레포츠5%

5455712,72510,900
숙박14%

1,5651,6147,82531,300
쇼핑2%

1971989853,940
편의오락25

2,2733,48011,36545,460
합계
10,78313,04353,915215,660




4.  중국 샤오홍슈  리뷰 분석을 통한 중국 개별 관광객 유치 전략 

중국 개별 관광객의 증가와 샤오홍슈의 영향력 증가에 따른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전략 마련 프로젝트


① 추진배경

·  중국 개별 관광객의 증가

·  샤오홍슈의 영향력 증가

·  정확한 시장 분석과 디지털 마케팅의 중요성

 


② 활동 내용

·  샤오홍슈 리뷰 조사 및 분석

·  설문 조사

·  제주관광공사 샤오홍슈 계정에 홍보물 제작 및 업로드




5.  제주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역별 비교분석 

제주 입도객 감소에 따른 직면한 문제 극복을 위한 지역간 비교 분석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젝트


① 추진배경

·  제주 입도객 추이 감소

·  제주 대체 관광지의 활성화

 



② 활동 내용

·  제주 관광 현황 분석

·  지역별 관광정책 비교분석

·  국내외 마케팅 정책, 우수사례 발굴 및 벤치마킹



프로젝트를 통해 랜드마크, 행사, 축제 및 대형 콘텐츠를 개발하여 관광객의 대형 유인요소를 확립할 필요가 있으며,

중장기 브랜딩, 민간과 지자체의 협력형 합동 마케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6.  외국인 관광객 대중교통 수용 태세  모니터링 

외국인 관광객의 대중교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프로젝트


 ① 추진배경

·  외국인 관광객의 주 이용 교통 수단의 변화

·  개별 관광객 비율의 증가

·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하다는 후기의 지속적인 증가

 


② 활동 내용

·  제주국제공항 출국장 내부 및 대기실을 활용하여 현장조사 진행



조사 결과 교통 정보에 대한 홍보의 필요성과 

버스 기사의 친절도와 노선 버스의 배차시간의 개선 등 다양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7.  중국인 개별관광객  SNS 정보 실태조사 

중국인 관광객들은 SNS를 통해 여행 정보를 공유하며, 여행지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급증하는 중국의 관광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제주도의 관광 수용 태세 마련을 위한 프로젝트


① 추진배경

·  중국 SNS의 영향력 증가

·  중국의 관광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 시장 세분화 및 시사점 필요

 


② 활동 내용

·  설문 조사 진행 및 분석

·  인터뷰 진행



프로젝트를 통해 관광빅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며, 

동남아시아 4 개국 대상 맞춤형 현지화 콘텐츠 제작 홍보를 통한 시장맞춤형 마케팅채널을 구현이 필요함을 알게되었습니다.




제주 RIS는 스마트관광 지역문제 해결 리빙랩을 통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사회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할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제주 내 문제를 직접 발굴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실제 비즈니스 환경 접촉으로 취·창업 역량 강화 및 창업 아이디어 창출을 통한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0
mobile back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