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RIS

프로그램
mobile background
mobile background

리빙랩지역밀착형-공유가지 창출 리빙랩

관리자


지역밀착형-공유가지 창출 리빙랩



지역밀착형-공유가치 창출 리빙랩은 3단계로 구성된 프로그램으로, 2024년 8월 5일부터 약 4개월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제주 지역의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책을 도출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2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성과를 이루었는데요, 

시민, 전문가, 대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문제 발굴 및 솔루션 아이디어 도출과 프로젝트 구체화를 위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사회 구성원이 참여하는 리빙랩(Living Lab) 방식으로 추친되었습니다.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진행되었습니다. 


✅1단계: 제주 지역문제 발굴 리빙랩

✅2단계: 문제 해결 프로젝트 발굴 리빙랩 (6개 주제) 

✅3단계: 솔루션 구체화 리빙랩 (2개 주제 선정 및 프로토타입 개발)



제주 지역 언론보도 및 연구기관 보고서를 바탕으로 운영진에서 데스크 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6개의 대주제 및 100개의 지역문제를 도출했는데요, 

도출된 지역문제 키워드 6가지는 복지, 관광, 소상공인, 농업, 다문화, 마을 이었습니다. 


해당 주제를 기반으로 약 개월 간의 사업 기간동안 총 6가지의 프로젝트가 발굴되었는데요

분야
프로젝트명
주요내용
공유자산
육아공동체 모임공간 예약 플랫폼
농지 모니터링 및 검색 시스템
소상공인
소상공인/중소기업 행정도우미 서비스
지원/정책사업 정보 접근성 개선
복지
타임뱅크 기반 사회적약자 상호지원 플랫폼
발달장애인 활동 기회 확대 및 상호 지원
다문화
제주 이주 외국인 적응 챗봇
외국인 대상 지역문화/생활 정보 제공
교통
제주-해상교통 온라인 예약 플랫폼
해상교통 실시간 운항 확인 및 예약
농업
농지 모니터링 및 검색 시스템
농지 활용 실태 모니터링 및 검색 서비스




[프로젝트 도출 워크숍 프로그램 집합형 워크숍 운영]

총 42명(대학생 12인, 시민자문가 17인, 멘토 및 퍼실리테이터 등 12인)이 참가한 워크샵을 통해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시간을 가지며 프로젝트 도출을 위해 솔루션을 구체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뜨겁게 이뤄졌습니다. 



[프로젝트 도출 워크숍 프로그램(2회차) 멘토링 운영]

우도담수와 문화재생 총괄 및 전 문화도시 센터장님이신 멘토 김병수 단장님의 멘토링을 통해

각 프로젝트 당 세부적인 피드백을 묻고 답할 수 있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구체화 멘토링 워크숍(2~4회차)운영]

ICT전문가 이호준, 임창진 전문가님과 사업 운영 책임자이신 김나솔 담당자와 함께하는 구체화 멘토링도 3차례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공유사잔과 농업 2가지 분야에 대한 멘토링이 진행되었으며

농업은 농지 모니터링 및 검색 시스템을 기반으로, 공유자산은 육아공동체 모임 공간 예약 플랫폼을 기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성과공유회]

마지막으로 지역밀착형 공유가치 창출 리빙랩 성과공유회를 통해 한 해 동안 우리 지역사회 내 

다양한 문제점과 해결해야 할 가치들을 돌아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이번 지역밀착형-공유가지 창출 리빙랩을 통해 제주도 내 여러 분야와 기관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수요를 면밀히 조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통해 지역의 실질적인 요구에 부합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아울러,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된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은 제주도 내에서

접근성이 낮은 지역 및 계층의 디지털 격차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디지털 및 AI 기술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 인재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미래 지역 산업 발전의 주체로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진심어린 관심이 있길 바랍니다:)

0
mobile background